Apache & Nginx 해당 문서에 더 자세하게 공부해 놓았다.
docker run -dit -p 80:8080 --name myos ubuntu:20.04
docker exec -it myos /bin/bash
apt-get update
apt-get install nginx=1.18.0-0ubuntu1
apt-get install vim
nginx.confnginx 웹서버의 기본 설정 파일이다.
find -name nginx.conf # 해당 명령으로 파일 위치 탐색
vi /etc/nginx/nginx.conf # 찾은 위치를 가지고 vi 에디터로 열어준다.
파일을 열어 보면 크게 user, worker_processes, pid, events, http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,
이중에서 “http” 항목 안을 살펴보면 다음 두가지 부분을 확인할 수 있다.

/etc/nginx/conf.d/mysite.com.conf 와 같은 파일을 별도로 만들어서 웹 서비스별 설정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.default 파일의 경우 버전이나 설치 방법에 따라 위치가 다를 수 있다고 한다. (예를들어 ubuntu에서 apt-get으로 설치하냐 / 도커로 설치하냐에 따라 다를 수 있다고 함)
apt-get으로 설치한 경우 - 즉 강의나 내가 실제로 해본 경우에는 이러했다:
conf.d 폴더 안에는 아무것도 없음sites-enabled 폴더 안에는 default 파일이 있음.ls -al 명령어를 입력하니까 default → sites-available 폴더를 가르키고 있음. 즉 리눅스 쉘때 배운 심볼릭 링크로 해당 폴더를 가르키고 있는 것이라고 함. 즉 원본은 sites-available에 있다는 것? 실제로 해당 폴더에 가보니까 default 파일이 또 있음.
default 파일 내용 일부
위에서 첫번째 listen은 HTTP 요청을 받을 포트 설정
default_server는 모든 웹서버 요청을 받는다는 의미두번째 줄의 listen은 IPv6 포트 관련 설정이므로 무시해도 됨.
어쨌든 둘다 8080으로 바꿔주자. 왜냐하면 위에서 docker run 할때 80:8080 으로 포트를 연결해 놓았기 때문에 8080에 대해 요청을 받도록 설정해 주어야 한다.

:wq)나서 service nginx restart 명령어를 입력하면 nginx를 재시작하게 되고, 이제 브라우저에서 인스턴스 ip로 접속하게 되면 nginx서버에서 응답이 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3.37.54.246/80 으로 접속해야 된다. 로컬은 80으로 연결했기 때문에.